Essays
From the Form  of Life to the Life of form
[Noh jae eok : Sharpen, Bump, and Scratch]

Ahn Soyeon
Art Critic
Noh jae eok's Sharpen, Bump, and Scratch (2022) suggest a turning point in his continuous work with what he has been doing. The archive work of the redevelopment area that has been in progress since 2018, has been focused on records of the demolition and temporary ruins faced in the redevelopment process of Uiwang-si, Gyeonggi-do, where Noh lived for about four years. Through Naesonra Housing Redevelopment : Naeson-dong Archive (2018), Naeson-dong Life Dictionary : Digital Archive (2019), Naeson-dong Archive : Naeson-dong Immgration Dictionary (2020), and Memories and Records of Naeson (2021), Noh composed the trio of 'Naeson Archive' collective to focus on observing and recording the location of the ruined redeveloment area ahead of demolition.
          
소외를 내파(內波)하려는 이와 만나다

김현주
독립큐레이터 

구성하는 이
회화에 주력하는 작가 노재억은 타인이 보기에는 수고롭게, 자신에게는 의미롭게, 여러 물성을 화면에 얹어간다. 이번 오픈 스튜디오는 완료된 작품만이 오롯한 전시장이 아니라 그가 작업실에서 쌓으면서 깎고, 또 부딪히고, 긁고 긁히는 회화를 만들고 있음을 직접 보고 들을 기회였다. 호미달 스튜디오를 찾은 관객 그리고 반려 고양이 호미와 미달이가 이날의 목격자였다. 노재억의 작업실 이름은 호미와 미달이의 이름을 따서 호미달 스튜디오다. 그는 오픈 스튜디오에서 인위적인 건 하고 싶지 않다고 선명하게 의사 표현했다. 내 뜻도 다르지 않았다. 가장 그다운 모습으로 관객과 만나게 하고 싶었다. 그는 공간 분할 없는 네모진 작업실 안에 동선 따라 둘러볼 수 있도록 파트를 나누어 오픈 스튜디오를 준비했다. 드로잉 뭉치가 놓인 시작점, 평소 작업이 주로 벌어지는 작업대 주변, 바보 트리가 붙은 벽과 그가 남긴 메모들, 내손동 프로젝트 기록물과 영상이 놓인 파트 등 작업의 흐름을 유연하게 훑을 수 있도록 수고를 기울였다. 〈문자 그대로의 오픈 스튜디오〉가 이번 기획의 제목이었는데, 지난 몇 해를 돌아볼 때 여타 기관 레지던시의 오픈 스튜디오와 가장 흡사한 방식으로 관객을 맞았던 것 같다.
             
Back to Top